<8일차 4월 2일 월>

게스트하우스 야하타 -> 도미 인 프리미엄 난바 -> 메이지켄, 카페 파블로 -> 코가류 타코야키 -> 호젠지 산페이 -> 도톤보리 강

 

 

교토에서 오사카로

 

여행 막바지 2일간은 별다른 일정 없이 난바 인근의 좋은 호텔에서 쉬는 일정이다. 우선 교토역에서 난바역으로 이동하고, 호텔에 짐을 맡겼다. 도미 인 체인은 처음 숙박해보았는데, 상당히 친절하였다. 게다가 그냥 도미 인이 아니라 도미 인 프리미엄이다!(가격 차이는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 

 

메이지켄 오므라이스

도미 인 근처에 있는 오므라이스 전문점 메이지켄 오픈이 11시라서 교토에서부터 대략 시간 맞춰서 이동했다. 딱 오픈 시간에 가니 웨이팅 전혀 없이 쾌적하게 먹을 수 있었다. 정확히 뭘 시켰는지 모르겠는데, 위 사진의 메뉴가 980엔으로 가성비는 훌륭하다. 근데 사실 맛은 그렇게 인상적이진 않았다...

 

도톤보리와 구로몬시장

이 날은 도톤보리 주변 둘러보는 것 외에 관광일정이 전무하다. 적당히 여유롭게 발길 가는데로 둘러보았다.

 

추억팔이 장소들

그나마 계획해서 간 곳은 5년 전에 기억남은 장소 2곳이었다. 건프라는 밤중에 숙소가는길 헤매던 사거리 쪽이라 기억에 남는다. 당시에 인터넷이 전혀 없이 여행을 다녔는데, 4명이서 저 건프라 사거리를 중심으로 어느 쪽으로 가는 게 맞다고 논쟁하면서 헤맸다. 난바역 앞의 taito station은 그때나 이번 여행이나 들어가 본 적은 없는 곳인데, 당시 난바역 앞에서 처음으로 맞이한 풍경이라 인상이 남았다.

 

카페 파블로

추억팔이도 적당히 끝내고 난 뒤에, 도톤보리 인근의 카페 파블로로 디저트를 먹으러 갔다. 위 세트가 930엔인데 가성비도 나쁘지 않고 맛도 훌륭했다. 전반적으로 분위기나 친절도도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추천.

 

호텔 체크인이 3시인데, 카페 파블로에서 나온 시점이 1시 반으로 아직도 시간이 꽤나 남았다. 그래서 적당히 시간 때울거리를 더 찾아보며 돌아다녔다. 

 

도큐핸즈와 코가류 타코야키

시간을 때우고자 딱히 살건 없었지만 신사이바시쪽의 도큐핸즈로 갔다. 막상 가보니 펜과 보온병이 괜찮아 보여서 하나씩 구매했다. 그런 다음 호텔 들어가기 전에 인근의 코가류 타코야키에서 타코야키를 테이크아웃했다. 평일 낮인데도 줄을 서있었지만, 오래 걸리지는 않았다. 호텔에 돌아가서 먹었는데 약간 식었지만 맛은 훌륭했다.

 

드디어 3시가 되어 호텔 체크인을 하였다. 도미 인 프리미엄 난바는 이미 다른 블로그에 후기가 많을테니 자세한 후기는 생략하겠다. 다만 같은 체인점인 도미 인 프리미엄 하카타점(캐널시티 마에)을 최근에 다녀와서 비교하자면, 룸 크기와 컨디션은 난바가 훨씬 좋았고, 온천은 하카타점이 좀 더 좋았다.

 

호젠지 산페이

호텔에서 느긋하게 쉬다가, 저녁으로 오코노미야키를 먹으러 나왔다. 도톤보리강 인근에는 유명한 오코노미야키 집이 굉장히 많은데, 대부분 웨이팅이 있는 편이었다. 그래서 웨이팅도 없고, 현지인 위주 맛집이라는 곳을 찾아서 왔는데, 호젠지 산페이라는 골목에 위치한 식당이다. 위치는 여기다.

 

호젠지 산페이

호젠지 산페이는 카운터석 위주로 작은 식당이다. 딱 전형적인 소규모 오코노미야키 전문점이라고 보면된다. 철판이 크게 있고 거기서 직접 오코노미야키를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주문 직후에 조리가 들어가기 때문에 음식 나오는데 시간은 꽤 걸린다. 맛은 상당히 훌륭하다. 이후에도 일본의 오코노미야키 전문점을 많이 가 보았지만, 여기보다 맛있는 곳은 아직까진 보지 못했다. 적극 추천할만한 맛집.

 

호젠지 산페이

약간 배불렀지만 맛이 훌륭했기 때문에 야키소바도 시켜먹었다. 대만족.

 

도톤보리강

평일이지만 도톤보리강은 밤까지 사람들로 북적인다. 그 유명한 글리코상도 지나쳤지만, 별 감흥은 없었다. 애당초 첫날에도 지나치기도 했고.

 

마지막 밤이라 뭔가 아쉬워서 도톤보리강 전망을 보며 즐길 수 있는 디저트 카페를 찾았다. 10시가 넘은 시간이라 연 곳이 많지는 않았는데 그래도 다행히 한 군데 찾을 수 있었다. 돌아다니다가 찾아냈기 때문에 위치가 어디인지는 잘 모르겠다. 반지하 느낌이었고 실내가 꽤 크고, 테라스가 강 쪽으로 나있어서 그쪽 테이블을 이용하였다. 근데 썩 친절하진 않고 서빙도 좀 늦고, 테이블도 불결했다. 그래도 파르페는 885엔으로 그리 비싸지 않고 맛도 있었다. 무엇보다 전망이 좋았기 때문에 이 정도면 만족한다.

 

적당히 놀고 댕기다가 호텔에 들어가서 푹 잤다. 침대가 굉장히 편했다.

 

호텔에서 푹 쉬는게 테마인 날이었는데, 생각보다 은근히 많이 걸었다. 

<7일차 4월 1일 일>

게스트하우스 야하타 -> 은각사 -> 우동집 오멘 -> 철학의 길 -> 난젠지 -> 게아게 인클라인 -> 

오야코동 히사고 -> 기요미즈데라 -> 기온 츠지리 -> 가츠규 가와라마치 -> 게스트하우스 야하타

 

 

 

오야코동 히사고

점심때 먹으려던 카레우동을 못 먹어서 약간 애매하게 배가 고팠다. 그래서 2번째 점심으로 뭘 먹을까 고민하다가 오야코동 전문점인 히사고로 갔다. 게아게 인클라인에선 좀 애매하게 떨어진 거리였지만, 어차피 기요미즈데라 가는 길이고, 중간에 공원도 있어서 걸어갔다. 근데 꽤 멀어서 엄청 힘들었다...

 

히사고는 웨이팅이 엄청 긴 편이라던데, 오후 3시에도 웨이팅이 있었다. 대략 20~30분쯤 기다렸던 것 같은데, 혼자여서 그나마 짧게 기다린 편이고, 일행이 있으면 더 걸린다. 여기는 뭔가 이름쓰고 그런 것도 없고, 그냥 옆에 대기 공간에서 대기해야 돼서 피크타임에 오면 엄청 오래 기다려야 할 것 같다. 오야코동은 처음 먹어봤는데, 엄청 맛있다 정도는 아니지만, 괜찮았다. 사진을 더럽게 맛없게 찍은 게 문제지... 근데 오래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또 모르겠다. 

 

당고

히사고에서 기요미즈데라로 이어지는 니넨자카-산넨자카는 코앞이다. 중간중간에 먹거리를 파는 작은 상점들도 괘 많다. 나는 여기서 당고를 하나사고, 어쩌다 보니 유자꿀 전문점에서 유자꿀도 하나 샀다. 

 

니넨자카 / 산넨자카

기요미즈데라는 교토의 무수한 관광지 중에서도 가장 인기있는 곳이다. 그래서 사람이 굉장히 많았다. 기요미즈데라로 가는 길은 쭉 언덕길인데, 양 옆으로 전통적인 느낌의 기념품 샾이나 카페들이 있어서 잠깐잠깐 둘러보고 가기 좋다. 

 

기요미즈데라

기요미즈데라는 꽤 높은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전망을 구경하기 꽤 좋다. 입장료는 18년 기준으로 400엔으로 비싸지는 않다. 중간중간 약수터(무슨 효험이 있다고 한다)도 있고 좀 산책하면 다른쪽 사찰도 구경할 수 있다.

 

기요미즈데라는 교토의 대표적인 관광지라고 해서 엄청 기대를 하고 온다면 좀 실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올라오는 길에 천천히 구경하면서 정상에선 사찰과 전망을 구경한다는 생각으로 온다면 충분히 만족할 것이다. 참고로 다카마쓰 인근의 고토히라와 상당히 유사한데, 아무래도 기요미즈데라가 사람도 많고 볼거리도 많은 상위 호환이라고 할 수 있겠다.

 

기온 거리

기요미즈데라에서 천천히 내려와서 기온 거리까지 걸어갔다. 날이 슬슬 어두워지고 있었는데, 아직 배가 고프지는 않아서 기온거리를 둘러보며 간식 먹을 곳을 찾아봤다.

 

기온 츠지리

기온 츠지리라고, 녹차 디저트로 유명한 카페가 있길래 들렀다. 인기가 많은 곳인 것 같던데, 6시임에도 다행히 웨이팅은 없었다. 녹차 파르페를 시켜먹었는데, 상당히 크고 구성도 알차며 맛도 괜찮다. 다만 가격이 흉포한데, 저게 무려 1134엔이나 한다! 웬만한 한 끼 수준인데, 나름 만족하고 먹었지만 가성비 생각하면 눈물이... 뭐 근데 사실 일본 파르페가 전반적으로 꽤 비싸긴 하다. 

 

기온 거리의 카모 강

녹차 파르페를 먹고 난뒤에, 날씨도 좋았겠다 강변에서 풍경 구경을 했다. 기온 거리 인근의 카모 강변에 벤치들이 있는데, 가보니 맥주 마시고 있는 애들도 있고 전반적으로 괜찮은 분위기였다. 물론 난 혼자였지만... 굴하지 않고 적당히 자리 잡고 앉아서 느긋하게 구경을 좀 했다. 

 

가츠규 가와라마치

9시쯤 되어서 매우 늦은 저녁으로 규카츠를 먹으러 갔다. 가츠규 가와라마치라고 여기도 꽤 유명한 집인것 같다. 세트로 시키면 국, 밥에 수란과 카레, 3종 소스까지 알찬 구성으로 한 상차림이 나온다. 안타깝게도 고기는 양이 많지 않았지만... 여기에 맥주까지 한 잔 시켜서 매우 만족스럽게 먹었다.

 

 

적당히 많이 걸은 날이다.

[0]

헷갈리기 쉬운 개념인 비동기/동기 실행의 차이점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본다.

 

[1]

동기적 실행(synchronous execution)은 서브루틴 간에 명확한 실행 순서가 존재한다. A, B, C의 세 가지 서브루틴이 존재하고 A, B, C 순으로 실행되기를 기대한다면 반드시 A->B->C의 순서로 실행되어야 한다. 즉, B는 A가 실행완료되기를 기다리며, C는 A와 B가 실행 완료되기를 기다린다.

 

비동기적 실행(asynchronous execution)에서는 서브루틴간에 명확한 실행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A->B->C의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고, B->C->A의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시에 반드시 이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브루틴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callback 패턴을 사용하기도 한다. 

 

[2]

동기적 실행은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 때부터 익숙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코드는 1번째 줄 -> 2번째 줄 ->.... 식으로 line by line으로 실행되며, 이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는 없다. 반면 비동기적 실행은 이러한 실행이 뒤바낄 수 있다.(물론 line 단위가 아니라 메소드나 함수 단위로 비동기화를 한다.) 비동기적 실행은 프로그래밍 시에 구조를 잘 짜 놓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버그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서브루틴에서 동시에 data write을 시도하여서, 실행 순서에 따라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반면에 멀티 스레드/코어가 일반화된 현시점에서는, 적절한 비동기화 구조는 상당한 성능 향상을 누릴 수 있다. 

 

[3]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이, 동기/비동기적 실행은 멀티 스레딩과 전혀 관련이 없다. 즉 하나의 스레드에서도 비동기적 실행을 할 수 있고, 멀티 스레드에서도 동기적 실행을 할 수 있다. 스레드 혹은 코어의 개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서브루틴간의 실행 순서가 정해져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와 관해선, 이 링크의 그림을 참고하자.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8175/asynchronous-vs-synchronous-execution-what-does-it-really-mean

 

Asynchronous vs synchronous execution, what does it really mea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execution?

stackoverflow.com

 

'Computer Science > Gene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형 프로그래밍  (0) 2020.09.13
pass-by-value 와 pass-by-reference  (0) 2020.01.03
Container와 VM의 차이  (0) 2019.12.16
메모리 : 힙과 스택의 차이  (0) 2019.10.15
c++에서 레퍼런스와 포인터의 차이  (0) 2019.09.22

+ Recent posts